본문 바로가기
주제별 사진 모음/생태 사진 모음

영흥도 산자고

by 자연 사랑 2022. 8. 4.

 

 

 

 

영흥도 산자고

 

 

 

 

설중 복수초 1

 

 

 

 

설중 복수초 2

 

 

 

 

설중 복수초 3

 

 

 

 

황금잔(복수초의 애칭)

 

 

 

 

아직은 때가 아닌데...

아니, 때는 맞는데 요 며칠 너무 추워서...

그야말로 꽃을 시샘하는 추위로 막 피어나던 꽃들이 꽃잎을 오그리고 말았다.

 

 

 

 

어렵사리 양지바른 산비알을 뒤지니

이제 막 낙엽을 헤치고 얼굴을 내 미는 산자고는 많았으나

이렇듯 꽃망울이라도 맺은 산자고는 눈을 크게 뜨고 몇 시간을 찾아봐도 고작 서너개...(산에서 8000 보를 걸었다)

 

 

 

 

그런데 운 좋게도

가파른 산비알을 미끌어지듯 헤메다가

드디어 딱 하나 꽃잎을 벌리고 있는 산자고를 찾았다.

 

 

 

 

역시 부지런한 자에게는 복이 있나니

겨울 산골 바람이 가슴 속까지 파고 드는 꽃샘추위 속에서

눈도 나쁜 내게 지성이면 감천이라고, 이렇게 산삼 캐듯 귀한 산자고를 선사해 준다.

 

 

 

 

구색을 맞추기 위해 노루귀가 많은 구봉도도 다녀왔지만,

이곳 역시 아직은 노루귀가 숨을 죽이고 낙엽 속에 숨어 있다.

겨우 하나 찾았으나 촬영하기가 좀 민망한 수준이다. 그러나 어쩌겠는가, 내 눈에 보인 건 요거뿐인걸...

 

 

 

 

눈에 들어 오는 노루귀는

이제 겨우 땅속을 비집고 나와 요 모양인데...

노루귀털이라도 풍성하게 보이니 인증샷으로 담아 본다.

 

 

 

 

실은 요즘 야생화 찍을 때의 자태가 요상해 야생화에 대한 관심이 없어졌다.

영흥도 복수초 밭에 막 피어나는 노루귀 하나 겨우 찾았지만 고개를 숙이고 있어

바닥에 납짝 엎드리고도 꽃술을 볼 수 없으니 땅속을 파고들 수도 없고, 자세가 영 맘에 안들어 포기 한다.

 

 

 

 

저녘에 일몰이라도 보려고 궁평항에 들린다.

이래선 안되는데 저마다 새우깡을 던져 갈매기들을 끌어 모은다.

요즘 사람이 많은 곳의 갈매기들은 이미 먹이 사냥을 포기하고 인간이 던져주는 새우깡에 의존하고 있다.

 

 

 

 

새우깡에 의해 사육된 갈매기들...

순간의 즐거움을 위해 갈매기들의 생존 본능을 말살하는 인간들...

이런 모습을 본 뒤론 언제부턴가 바닷새의 대명사인 갈매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게 되었다.

 

 

 

 

낚시꾼들의 여유로운 모습.

궁평항에 가면 늘 볼 수 있는 그림이다.

나도 그 옛날엔 지나치도록 낚시를 좋아했었는데...

 

 

 

 

모름지기 풍경사진은 날씨가 좋아야 하는데

기다리고 기다리는 주말엔 꼭 요렇게 날씨가 개판이니

성질 못된 하늘이여, 열심히 일하고 주말을 즐기는 직장인에게 이래도 되는감?

 

 

 

 

 

2016. 3. 12. 영흥도와 궁평항에서

댓글